“Tadpole DB Hub(올챙이)는 웹브라우저에서 Altibase, Apache Hive, Apache Tajo, Amazon RDS, MongoDB, CUBRID, MariaDB, MySQL, Oracle, SQLite, Tibero, MSSQL, PostgreSQL을 관리 하는 협업 툴 입니다. 웹을 통해 DB를 관리(작업)하고 작업내역을 감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을까 검색하다 TadPole을 발견하고 간략한 설치방법과 사용법 소개합니다.”
공식사이트 : https://sites.google.com/site/tadpolefordb/
다운로드 : 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tadpoledbhub/files/
사용자 가이드 : 바로가기
1. 준비환경
1) CentOS 7
2) JDK 및 Tomcat 설치
2. TadPole 설치
1) 톰캣 webapps 디렉토리에 tadpole.war 다운로드 후 배포
2) 웹브라우저 http://IP:8080/tadpole/ 접속
– 사용관련 동의 선택 후 다음
– 사용형태 ‘그룹’ 선택 후 ‘다음’
– 시스템 관리자 등록에서 이메일과 비번 등록
– 설치 완료되며 로그인합니다.
3. 사용법
1) 데이터베이스 등록
파일 – 데이터베이스 등록 클릭 후 호스트의 IP, 포트, 데이터베이스, 사용자,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고 등록합니다.
2) 데이터베이스 관리
관리 – 데이터베이스 관리 클릭 후 위 1) 에서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여 상단 데이터베이스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수정할 수 있습니다.
3) 스키마 히스토리
관리 – 스키마 히스토리 클릭하여 스키마 변경 관련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) 환경설정에서 쿼리포맷, 쿼리에디터의 스타일, 테마, 폰트사이즈, 비밀번호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5) 사용자 추가 (어드민만 가능)
어드민 – 사용자 리스트 클릭 후 사용자 추가 합니다.
6) 오픈소스 버전은 기능 제한이 있어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.
4. 오픈소스 vs 엔터프라이즈
1) 바로가기 : https://www.slideshare.net/hangum/vs-65297864
2) 사용자 관리 : 부분 vs 즉시 블럭 및 계정 콘트롤 지원
3) 접근제어 : 미지원 vs DDL, DML 지원
4) 감사 : 미지원 vs 사용자 실행 모든쿼리 기록, 실시간 조회 가능
5) 쿼리결과 다운로드 : 미지원 vs 지원
6) 오프젝트 캐쉬 : 부분 vs 지원
7) 데이터베이스 관리 : 부분 vs 사용자 별 DB 등록 설정
'정리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쿼리문 모음 (0) | 2017.01.16 |
---|
댓글